일본 뉴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일본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Francesco
2025. 4. 11. 15:52
🔹 1. 정책 개요 요약
- 대부분 수입품에 10% 기본 관세 부과
-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는 최대 25% 관세
- 일본은 FTA 미체결 국가로, 혜택 없이 전면 관세 적용
🔹 2. 일본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항목 | 영향 |
수출 비용 증가 | 미국 수출 차량에 10~25%의 관세가 부과되어 가격 경쟁력 약화 |
수익성 하락 | 관세를 흡수할 경우 마진 감소, 소비자 전가 시 판매량 감소 가능성 |
현지 생산 확대 압박 | 미국 내 생산 비중을 늘려 관세 회피 전략 필요 |
공급망 조정 | 일본산 부품 사용 비중이 높은 경우, 미국 공장조차 영향을 받음 |
엔화 강세 리스크 | 미국 정치 불확실성으로 안전자산 수요 상승 → 엔화 강세 → 수출 경쟁력 추가 약화 |
🔹 3. 일본 메이커별 영향 분석
🚗 도요타 (Toyota)
- 미국 내 생산비중 높음 (켄터키, 텍사스, 미시시피 등)
- 관세 회피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일본산 부품·고급차 수출에는 영향
- 고급 브랜드 Lexus는 대부분 일본 생산 → 직격탄
🚗 혼다 (Honda)
- 오하이오 및 앨라배마 공장 운영, 현지 생산 비율 높음
- 일본산 엔진과 일부 모델은 여전히 수입 → 일부 타격
- 미국 시장에서의 SUV·픽업 수요에 대응 가능
🚗 닛산 (Nissan)
- 미국 생산 (테네시, 미시시피)은 유지되고 있으나,
- 일본 생산 중심의 Infiniti, 일부 SUV는 타격
- 최근 미국 내 판매 감소로 이중 부담
🚗 스바루 (Subaru)
- 생산능력 대비 미국 수출 의존도 높음
- 미국 내 공장은 인디애나 1곳 → 일본 생산 의존도 큼
- 중형차와 AWD SUV의 수익성 하락 가능성
🚗 마쯔다 (Mazda)
- 미국 내 생산기지 약함 (알라배마 공장, 도요타와 공동 운영은 이제 시작)
- 일본에서 수출하는 비중이 높아 관세 타격 심각
- 가격 민감한 모델이 많아 판매 타격 가능성 큼
🚗 스즈키 (Suzuki)
- 미국 시장 철수 상태 → 직접 영향은 거의 없음
🔹 4. 대응 전략 제안
전략 | 내용 |
현지 생산 확대 | 미국 내 공장 설립 또는 확대 (특히 마쯔다, 스바루) |
북미 공급망 재편 | 관세회피 가능 국가에서 부품 조달 확대 |
EV 전환 가속화 |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따른 세금 혜택 노림 |
가격 조정 전략 | 프리미엄 브랜드는 가격인상, 대중 브랜드는 마진 희생 감수 |
📌 정리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일본 자동차 산업 전반에 부담을 주는 구조적 리스크입니다.
그러나 미국 내 생산 비중과 브랜드 포지셔닝에 따라 메이커별로 영향의 정도는 다릅니다.
브랜드관세 영향도코멘트
브랜드 | 관세 영향도 | 코멘트 |
Toyota | ★★☆☆☆ | 미국 생산 많아 회피 가능성 높음 |
Honda | ★★☆☆☆ | 일부 부품 영향 있으나 비교적 양호 |
Nissan | ★★★☆☆ | 수출 모델 다수, 판매 둔화와 복합 타격 |
Subaru | ★★★★☆ | 일본 의존도 높고 수출 비중 큼 |
Mazda | ★★★★★ | 일본 수출 의존, 미국 생산 기반 취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