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학 입시
일본대학 입시동향 분석
Francesco
2025. 4. 10. 14:05
다음은 일본의 대형대학입시학원 중 하나인 駿台(SUNDAI)에서 2024년에 발표한 일본대학 입시동향 분석자료입니다.
일본 대학 입시 전망은 수험생 감소와 교육 개혁 흐름 속에서, 단순 지식보다 사고력·표현력·인간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특히 추천형·종합형 전형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고등학교 생활의 성실성과 자기 PR 역량이 중요해졌습니다. 입시 전략은 대학별 특성과 맞춰 조기에 준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고등교육의 '보편화' 흐름과 AI 시대에 대비한 능력 중심 입시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1. 📉 수험 인구 감소와 대학 정원 변화
- 1992년 약 121.5만 명 → 2023년 약 65.0만 명 (53% 수준)
- 입시 경쟁은 완화되는 경향이나, 인기 대학 집중 현상은 여전
- 고3 인구의 변화는 입시 제도의 유연성과 다변화로 이어짐
2. 🧭 대학 교육 패러다임 변화
- 엘리트형 → 대중형 → 유니버설 액세스형으로 변화
- 고등교육은 더 이상 일부만의 특권이 아니며, 누구나 대학에 진학하는 시대
- 진학률: 일본 60.6% (대학 56.6% + 단기대학 4.0%), 한국/미국은 약 70%
3. 🔍 고등학교-대학 연결(高大接続) 개혁
- 2040년을 향해서 Society 5.0 및 AI 시대에 대비한 "인간력(人間力)" 중심 평가
- 기존 암기 중심 → 사고력·표현력·협동성 중심으로 입시 변화
- 영어 4기능(리딩/라이팅/리스닝/스피킹)·소논문·프레젠테이션·면접 등 강화
4. 🧠 학력 3요소 평가 체제
항목 | 설명 |
① 지식, 기능 | 공통테스트, 자격증 |
② 사고력, 표현력 | 논술, 에세이, 프리젠테이션 |
③ 태도, 협동성 | 면접, 활동보고서, 추천서 등 |
※ 종합형·추천형 전형에서 위 3요소 평가 비중이 증가
5. 🎯 대학 선택 기준의 진화
- 과거: 입학 자체 혹은 대학 브랜드에 집중
- 현재: 졸업 후 사회에서 발휘되는 인간력과 성장 가능성이 핵심
- 직업 역산 선택이 아닌, “자기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 중심 선택 필요
6. 📝 대학 입시 유형 정리
구분 | 설명 |
일반 | 공통 테스트 + 대학별 시험(국공립) / 독자시험 (사립) |
학교 추천형 | 고교의 추천필요, 성실성 및 학교 생활이 중요 |
종합형 | AO형, 자기소개서 및 면접 중심 |
최근엔 와세대/게이로를 중심으로 “종합형”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준비 전략이 중요
🔚 마무리
2024년도 이후의 일본 대학 입시는 단순한 암기 능력이 아니라, 자기 표현력과 협동성, 성장 의지를 갖춘 인재를 선호하는 방향으로 확실히 전환되고 있습니다. 특히 추천형과 종합형 입시는 학교생활의 충실함과 자기PR이 핵심이므로, 입시 전략을 미리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